부부가 각각 국민연금을 받으면 감액이 될까요?
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서 정말 설이 많지만, 국민연금은 개인별로 산정이 되어서, 부부가 동시에 수령해도 감액이 되지 않습니다.
고액 연금 수령 부부의 실제 사례와 연금 설계 전략, 유족연금 중복 수령 규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부부 국민연금, 둘 다 받으면 감액될까?

정답: 감액되지 않습니다.
국민연금은 가족 단위가 아닌 개인 단위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, 부부가 각각 가입을 하고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면 각자의 노령연금을 전부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, 감액이나 중복 급여 조정은 유족연금에서만 적용됩니다.
구분 | 국민연금(노령연금) | 유족연금 |
---|---|---|
부부 동시 수령 | 감액 없음 | 중복 수령 제한 |
실제 사례: 월 542만 원 국민연금 받는 부부의 비결

2025년 3월 기준, 부부 합산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은 월 542만7,630원이라고 합니다.
제주에 거주하는 한 부부가 남편 259만7,670원, 아내 282만9,960원을 각각 수령하고 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.
이것은 국민연금연구원이 제시한 부부 기준 적정 노후생활비(월 296만9,000원)를 훨씬 상회하는 금액이지요.
- 남편: 259만7,670원
- 아내: 282만9,960원
어떻게 이런 연금을 받을 수 있었을까? 3대 전략 수립
- 장기 가입
1988년 국민연금 도입 초기부터 장기간(27~28년) 꾸준히 보험료를 납부. - 높은 소득대체율 시대 가입
과거에는 소득의 70%까지 연금으로 받던 고대체율 시대에 가입, 현재(2025년 기준 41.5%)보다 유리. - 연금 수령 시기 연기
연금 수령을 최대 5년 연기해서 연금액을 최대 36%까지 높임.
유족연금 수령 시 주의사항
배우자 사망 시, 본인 노령연금과 유족연금을 동시에 전액 받을 수는 없습니다.
아래 표처럼 본인 노령연금 + 유족연금 30% 조합 또는 유족연금만 선택해야 합니다.
선택 | 지급 내용 |
---|---|
본인 노령연금 선택 | 본인 노령연금 + 유족연금의 30% |
유족연금 선택 | 유족연금만 지급 |
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동시 수령 시 감액 기준
-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동시에 수령할 때는 기초연금이 감액됩니다.
- 특히,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받으면, 각자의 기초연금액에서 20%가 추가 감액이 됩니다.
- 국민연금 자체는 감액되지 않습니다.
Q&A로 정리하는 국민연금 부부 수령
Q1. 부부가 동시에 국민연금 받으면 감액되나요?
❌ 아닙니다. 부부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라면 각각의 연금 전부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.
Q2. 유족연금은 중복 수령이 불가능한가요?
⚠ 본인 노령연금 + 유족연금 30% 조합만 가능합니다.
Q3. 연금 수령 시기를 꼭 미뤄야 하나요?
👆 연기하면 연금액이 늘어나지만, 본인의 건강과 기대수명을 고려해서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Q4. 둘 다 국민연금을 못 받는 경우도 있나요?
✔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면 수령 자격이 안 됩니다. 추납, 임의가입 제도 활용을 검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결론: 부부 연금은 안정된 노후의 필수 전략
한 명만 연금 받는 시대는 끝났습니다.
부부 모두 국민연금을 준비하고, 장기 가입과 연기 전략을 활용하게 되면 더 풍족하고 안정된 노후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라도 부부가 함께 연금 설계를 시작하십시요!
<참고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