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 최저임금 10,320원 확정!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? 알바 주급은?

드디어 2026년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어요.
노동계와 경영계가 팽팽하게 맞선 끝에, 내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

💬 저도 처음 이 뉴스를 접하고, “그럼 한 달에 얼마 벌게 되는 거지?” 싶더라고요.
실제 월급, 세후 실수령액까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직접 계산해봤습니다!

2026년 최저임금 기본 정보

편의점-알바생
편의점 알바생
  • 시간당 최저임금: 10,320원
  • 주 40시간 (1일 8시간 × 주 5일) 기준 주급: 10,320원 × 40시간 = 412,800원
  • 주휴수당 포함: 412,800원 + 82,560원(주휴수당) = 495,360원
  • 월환산액: 495,360원 × 4.345주 = 약 2,152,140원

즉, 주 40시간 기준 월급여는 약 215만원입니다.


세전·세후 실수령액 계산

항목금액
세전 월급2,152,140원
4대 보험 (대략)약 -177,000원
세후 실수령액약 1,975,000원
📌 참고: 4대 보험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장기요양보험으로, 비율은 직장인 기준 대략 8~9% 수준입니다.

알바생 기준 일급·주급도 궁금하다면?

최저임금은 알바생에게도 그대로 적용됩니다. 주휴수당 포함 시 다음과 같아요.

  • 하루 8시간 일할 경우 일급: 10,320 × 8 = 82,560원
  • 주휴수당 포함 주급: 82,560원 × 5일 + 주휴수당 82,560원 = 495,360원

단,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소정근로일 개근해야 발생합니다!


최저임금 인상, 현실 반응은?

이번 인상은 전년도 대비 약 2.5% 오른 금액입니다.
노동계는 “생활물가 상승 고려 시 턱없이 부족하다”고 비판하고,
소상공인·자영업자는 “지금도 인건비 감당이 벅차다”며 우려하는 분위기입니다.

하지만, 직장인·근로자 입장에서는 확정된 최저임금 기준으로 내 수입이 어떻게 되는지 현실적으로 파악하는 게 중요하겠죠.


총정리

  •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320원
  • 주 40시간 기준 세전 월급: 약 215만 원
  •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: 약 197만 원
  • 일급·주급도 인상된 만큼 반영됨

📱 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

💬 여러분의 실제 급여와 얼마나 차이 나는지도 댓글로 남겨주세요!
공감과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!

댓글 남기기